반응형
IMA 종합투자계좌, 드디어 나온다!
안녕하세요 :)
요즘 금융 뉴스를 보다 보면 자주 보이는 말,
바로 ‘IMA 계좌’입니다.
사실 처음엔 저도 “이게 뭐지?” 싶었는데요,
하나하나 찾아보니 굉장히 흥미로운 상품이더라고요!
오늘은 이 IMA 종합투자계좌에 대해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1. IMA 계좌란?
IMA는 Individual Management Account의 약자예요.
개인이 맡긴 자금을 증권사가 운영하고, 그 수익을 나눠주는 구조의 계좌입니다.
예금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면서도,
원금 지급이 보장되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에요!
그리고 핵심 포인트는 이거예요!
고객이 맡긴 자금의 70% 이상을
‘기업금융 자산’에 투자해
수익을 내고, 이를 고객에게 돌려주는 구조입니다.
즉, 고객은 맡기고 기다리면 되고
증권사가 그 돈으로 투자해 수익을 만들어 주는 거예요.
2. 출시 시기 및 진행 상황
현재 IMA 계좌는 아직 출시되지 않았고,
2026년부터 정식 출시될 예정입니다.
- 2025년 3분기(7~9월): 사업자 신청 접수
- 2025년 하반기: 사업자 지정
- 2026년부터 실제 상품 판매 시작
사실 IMA는 2016년에 이미 도입됐던 제도지만,
세부 규정이 미비해 지금까지 실현되지 못했어요.
최근 들어 원금지급 방식, 만기 설정, 판매 규제, 자금 운용 한도 등이 정비되면서
이제야 본격적인 도입 단계에 들어간 거죠.
3. 상품의 특징
항목 | 내용 |
수익률 | 연 3~8% 목표 (시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운용 구조 | 증권사가 고객 자금으로 기업금융 관련 자산 70% 이상 운용 |
원금 지급 | O (증권사가 책임) |
만기 | 1~7년 정도 설정 예정 |
세제 혜택 | 없음 (ISA와는 다름) |
출시 시기 | 2026년 |
쉽게 말해, 만기가 있는 중수익 상품이에요.
예금보다는 수익이 높고,
주식처럼 큰 손실 위험은 낮게 설계된 구조라고 보면 됩니다.
4. 어떤 증권사가 하나요?
현재 IMA 사업자는 자기 자본 8조 원 이상 종합금융투자사업자만 가능해요.
이 조건을 충족하는 증권사는 딱 2곳입니다!
- 미래에셋증권
- 한국투자증권
이 두 곳이 현재 가장 유력한 IMA 계좌 사업자입니다.
5. 다른 금융상품과 비교하면?
항목 | IMA 계좌 | 일반 주식 계좌 | 예·적금 | ISA |
운용 주체 | 증권사 | 개인 | 은행 | 개인 |
수익 구조 | 기업금융 운용 후 배분 | 본인 투자 수익 | 고정 이자 | 투자 수익 + 비과세 혜택 |
원금 보장 | O | X | O | X |
만기 | 1~7년 | 없음 | 설정 가능 | 있음 |
세제 혜택 | 없음 | 없음 | 경우에 따라 있음 | 비과세 한도 존재 |
출시 시기 | 2026년 예정 | 상시 | 상시 | 운영 중 |
6. 요약정리!
- IMA 계좌는 예금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중수익 상품!
- 증권사가 원금을 보장하고, 고객 자금을 70% 이상 기업금융에 투자해 수익을 돌려주는 구조!
- 만기형 상품(1~7년)이며, 연 3~8% 수익률을 목표로 함
- 현재 사업자는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이 유력
- 2026년부터 출시 예정!
마무리하며 :)
지금은 아직 출시 전이지만,
고수익만 쫓기엔 불안하고, 예금은 너무 심심했던 분들에겐
앞으로 IMA 계좌가 꽤 괜찮은 선택지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출시가 다가오면,
실제 개설 방법, 수수료 구조, 증권사별 차이점 등도 블로그에 정리해서 올릴게요!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 주세요 :)
'시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급여가 줄었어요? 건강보험 정산 때문일 수 있어요! (0) | 2025.04.15 |
---|---|
미국의 25% 관세, 한국 수출에 어떤 영향 줄까? (0) | 2025.04.08 |
국내 주식, KRX랑 코넥스(NEXT)? 쉽게 정리해봤어요! (4) | 2025.04.03 |
국민연금 개혁, 내 월급에서 얼마나 더 나갈까? (0) | 2025.03.21 |
미국 관세 변화와 한국 산업에 미치는 영향 총정리! (0) | 2025.02.27 |